한비자 썸네일형 리스트형 내저설 상_七術:詭使 七術:詭使 계책으로 부하를 조종하라말없이 경쟁시켜라아는 척 지시하라모르는 척 말하라넘겨짚어 말하라 數見久待而不任(일청사수견구대이부임), 姦則鹿散(간칙록산)。使人問他則不鬻私(사인문타칙부죽사)。 是以龐敬還公大夫(시이방경환공대부), 而戴讙詔視轀車(이대환조시온차), 周主亡玉簪(주주망옥잠), 商太宰論牛矢(상태재론우시)。 군주가 자주 신하를 접견하고 오래 앉혀 놓고 일을 맡기지 않으면 간신은 견딜 수가 없어 사슴 떼가 사라지듯 사라질 것이다. 또 사람을 부리는 경우 다른 사람에게 물으면 사사로이 속이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방경은 공대부를 물러나게 했으며, 대관은 측근이 성실한가, 아닌가를 시험하기 위해서 밤중에 포장을 친 마차를 수색하게 했으며, 주왕은 옥비녀를 일부러 잃은 척하고 자가가 신령처럼 밝게 살피는 .. 내저설_ 상 七術:一聽- 七術:一聽- 각자의 말을 듣고 책임을 지워라자기 위주로 말한다떼어놓고 보아라떠볼 수 없게 하라두 갈래 말을 못하게 하라돌려 말하지 못하게 하라 一聽則智愚不分(일청칙지우부분),責下則人臣不參(책하칙인신부참)。其說在索鄭與吹竽(기설재색정여취우)。其患在申子之以趙紹(기환재신자지이조소)、韓沓為嘗試(한답위상시)。故公子氾議割河東(고공자범의할하동),而應侯謀弛上黨(이응후모이상당)。 한쪽 말만 들어서는 현명하고 어리석음이 구별되지 않는다. 아랫사람을 꾸짖기만 하면 하면 신하들은 의견을 내어 참여하지 않는다. 그 예는 정 나라에서 여럿이 함께 피리를 불면 그중 누가 잘 불고 못 부는지 알 수 없는 것 등이 있다. 그 신하를 채찍질하지 않은 폐해로는 신자가 조나라를 위해서 한나라에서 군사 원조를 받을 셈으로, 조소와 한답.. 내저설 상_ 칠술_ 신상 七術:信賞 공이 있는 자는 반드시 포상하라상벌이 명확하면 용감해진다이익을 담보로 움직이게 하라상을 주면 목숨도 버린다추켜세우면 목숨도 버린다이유 없이 주지 마라이익이 있으면 싫은 일도 한다 賞譽薄而謾者(상예박이만자),下不用也(하부용야),賞譽厚而信者下輕死(상예후이신자하경사)。其說在文子稱若獸鹿(기설재문자칭약수록)。故越王焚宮室(고월왕분궁실),而吳起倚車轅(이오기의차원),李悝斷訟以射(리리단송이사),宋崇門以毀死(송숭문이훼사)。句踐知之(구천지지),故式怒蛙(고식노와)。昭侯知之(소후지지),故藏弊褲(고장폐고)。厚賞之使人為賁(후상지사인위분)、諸也(제야),婦人之拾蠶(부인지습잠),漁者之握鱣(어자지악전),是以效之(시이효지)。 포상이 불충분하고 기만하면 신하는 군주를 위해서 일을 하지 않는다. 상이 충분하고 믿음이 있으면 신하.. 내저설_칠술(七術)_ 必罰 2. 七術: 必罰 법의 엄격한 적용을 하면 저절로 다스려진다형벌을 두려워하게 하라군주가 어기면 백성도 어긴다쉬운 일을 시켜 법을 어기지 않게 한다상벌의 권한이 있으면 다스려진다형벌로 형벌을 없앤다목숨은 천하와도 바꾸지 않는다상벌이 있어야 명령이 통한다지나치게 인자하고 다정하면 안 된다지나치게 인자하면 망한다이익과 명예를 위해 행동한다법이 서지 않으면 땅도 소용없다 愛多者則法不立(애다자칙법부립),威寡者則下侵上(위과자칙하침상)。是以刑罰不必則禁令不行(시이형벌부필칙금령부행)。其說在董子之行石邑(기설재동자지행석읍),與子產之教游吉也(여자산지교유길야)。故仲尼說隕霜(고중니설운상),而殷法刑棄灰(이은법형기회);將行去樂池(장행거악지),而公孫鞅重輕罪(이공손앙중경죄)。是以麗水之金不守(시이려수지김부수),而積澤之火不救(이적택지화.. 내저설_상_ 칠술_참관 (參觀) 第30篇 《內儲說上》내저설 상하는 한비자의 법(法) 술(術) 세(勢)중 정치술을 논하는 장이다. 이 군주의 정치술은 군주가 신하를 통제하는 대단히 중요한 전략 전술의 내용을 역사적 사례를 들어 설명하는 장이다. 그중 일곱 가지 술법의 활용과 여섯 가지 기미를 잘 살피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칠술 (七術)참관 (參觀): 여러 신하의 말을 참조하고 관찰하라.필벌 (必罰): 죄 있는 자는 반드시 벌하라.상예 (賞譽): 상을 주고 칭찬하라.일청 (一聽): 하나하나 들어라.궤사 (詭使): 계책을 쓰라.협지 (挾智): 모르는 척 물어라.도언 (倒言): 반대되는 말을 하라. 主之所用也七術(주지소용야칠술), 所察也六微(소찰야륙미)。七術(칠술): 一曰衆端參觀(일왈중단참관), 二曰必罰明威(이왈필벌명위.. 대체_근본 요체 간략함이 최선의 이익이다 古之全大體者(고지전대체자):望天地(망천지),觀江海(관강해),因山谷(인산곡),日月所照(일월소조),四時所行(사시소행),雲布風動(운포풍동);不以智累心(부이지루심),不以私累己(부이사루기);寄治亂於法術(기치란어법술),託是非於賞罰(탁시비어상벌),屬輕重於權衡(속경중어권형);不逆天理(부역천리),不傷情性(부상정성);不吹毛而求小疵(부취모이구소자),不洗垢而察難知(부세구이찰난지);不引繩之外(부인승지외),不推繩之內(부추승지내);不急法之外(부급법지외),不緩法之內(부완법지내);守成理(수성리),因自然(인자연);禍福生乎道法而不出乎愛惡(화복생호도법이부출호애악),榮辱之責在乎己(영욕지책재호기),而不在乎人(이부재호인)。故至安之世(고지안지세),法如朝露(법여조로),純樸不散(순박부산);心無結怨(심무결원),口無煩言(구무번.. 공명_공을 이루고 명성을 얻음 功名(공명)_天時(천시) 人心(인심) 技能(기능) 勢位(세위) 明君之所以立功成名者四(명군지소이립공성명자사):一曰天時(일왈천시),二曰人心(이왈인심),三曰技能(삼왈기능),四曰勢位(사왈세위)。非天時雖十堯不能冬生一穗(비천시수십요부능동생일수),逆人心雖賁(역인심수분)、育不能盡人力(육부능진인력)。故得天時則不務而自生(고득천시칙부무이자생),得人心則不趣而自勸(득인심칙부취이자권),因技能則不急而自疾(인기능칙부급이자질),得勢位則不進而名成(득세위칙부진이명성)。若水之流(약수지류),若船之浮(약선지부),守自然之道(수자연지도),行毋窮之令(행무궁지령),故曰明主(고왈명주)。 현명한 군주가 공을 이루고 명성을 얻는 네 가지 방법이 있다 ; 첫째가 천시 둘째가 인심 셋째가 기술과 능력 넷째가 세위(권세와 지위)이다. 하늘의 시간이 맞추지 않으.. 27. 용인_법칙 없이는 다스려지지 않는다 법칙 없이는 다스려지지 않는다 聞古之善用人者(문고지선용인자),必循天順人而明賞罰(필순천순인이명상벌)。循天則用力寡而功立(순천칙용력과이공립),順人則刑罰省而令行(순인칙형벌성이령행),明賞罰則伯夷(명상벌칙백이)、盜跖不亂(도척부란)。如此(여차),則白黑分矣(칙백흑분의)。治國之臣(치국지신),效功於國以履位(효공어국이리위),見能於官以受職(견능어관이수직),盡力於權衡以任事(진력어권형이임사)。人臣皆宜其能(인신개의기능),勝其官(승기관),輕其任(경기임),而莫懷餘力於心(이막회여력어심),莫負兼官之責於君(막부겸관지책어군)。故內無伏怨之亂(고내무복원지란),外無馬服之患(외무마복지환)。明君使事不相干(명군사사부상간),故莫訟(고막송);使士不兼官(사사부겸관),故技長(고기장),使人不同功(사인부동공),故莫爭(고막쟁)。爭訟止(쟁송지),技長立(기장립),則彊.. 이전 1 2 3 4 5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