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비자/30. 內儲說上

七術:倒言 七術:倒言 반대되는 말을 하라본심을 알아내라엉뚱한 말을 하라  倒言反事以嘗所疑則姦情得(협지육도언반사이상소의칙간정득)。 故陽山謾樛豎(고양산만규수), 淖齒爲秦使(뇨치위진사), 齊人欲爲亂(제인욕위란), 子之以白馬(자지이백마), 子産離訟者(자산리송자), 嗣公過關巿(사공과관불)。 마음에도 없는 엉뚱한 말을 하거나, 엉뚱한 짓을 하여 의심스러운 것을 시험해보면 간신들의 실정을 파악할 수 있다. 그래서 양산은 규수를 속여 군주가 자기를 의심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고, 요치는 자기 심복을 진나라로 보내어 군주가 자기를 미워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고, 제나라 사람은 반란을 일으키고자 하여 일부러 자기가 사랑하는 자를 쫓아내어 군주의 동정을 탐지하였으며, 자지는 백마가 밖으로 도망쳤다는 말을 하여 신하의 성실성을 알아냈으며,..
내저설 상_七術:詭使 七術:詭使 계책으로 부하를 조종하라말없이 경쟁시켜라아는 척 지시하라모르는 척 말하라넘겨짚어 말하라  數見久待而不任(일청사수견구대이부임), 姦則鹿散(간칙록산)。使人問他則不鬻私(사인문타칙부죽사)。 是以龐敬還公大夫(시이방경환공대부), 而戴讙詔視轀車(이대환조시온차), 周主亡玉簪(주주망옥잠), 商太宰論牛矢(상태재론우시)。 군주가 자주 신하를 접견하고 오래 앉혀 놓고 일을 맡기지 않으면 간신은 견딜 수가 없어 사슴 떼가 사라지듯 사라질 것이다. 또 사람을 부리는 경우 다른 사람에게 물으면 사사로이 속이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방경은 공대부를 물러나게 했으며, 대관은 측근이 성실한가, 아닌가를 시험하기 위해서 밤중에 포장을 친 마차를 수색하게 했으며, 주왕은 옥비녀를 일부러 잃은 척하고 자가가 신령처럼 밝게 살피는 ..
내저설_ 상 七術:一聽- 七術:一聽- 각자의 말을 듣고 책임을 지워라자기 위주로 말한다떼어놓고 보아라떠볼 수 없게 하라두 갈래 말을 못하게 하라돌려 말하지 못하게 하라    一聽則智愚不分(일청칙지우부분),責下則人臣不參(책하칙인신부참)。其說在索鄭與吹竽(기설재색정여취우)。其患在申子之以趙紹(기환재신자지이조소)、韓沓為嘗試(한답위상시)。故公子氾議割河東(고공자범의할하동),而應侯謀弛上黨(이응후모이상당)。  한쪽 말만 들어서는 현명하고 어리석음이 구별되지 않는다. 아랫사람을 꾸짖기만 하면 하면 신하들은 의견을 내어 참여하지 않는다. 그 예는 정 나라에서 여럿이 함께 피리를 불면 그중 누가 잘 불고 못 부는지 알 수 없는 것 등이 있다. 그 신하를 채찍질하지 않은 폐해로는 신자가 조나라를 위해서 한나라에서 군사 원조를 받을 셈으로, 조소와 한답..
내저설 상_ 칠술_ 신상 七術:信賞 공이 있는 자는 반드시 포상하라상벌이 명확하면 용감해진다이익을 담보로 움직이게 하라상을 주면 목숨도 버린다추켜세우면 목숨도 버린다이유 없이 주지 마라이익이 있으면 싫은 일도 한다   賞譽薄而謾者(상예박이만자),下不用也(하부용야),賞譽厚而信者下輕死(상예후이신자하경사)。其說在文子稱若獸鹿(기설재문자칭약수록)。故越王焚宮室(고월왕분궁실),而吳起倚車轅(이오기의차원),李悝斷訟以射(리리단송이사),宋崇門以毀死(송숭문이훼사)。句踐知之(구천지지),故式怒蛙(고식노와)。昭侯知之(소후지지),故藏弊褲(고장폐고)。厚賞之使人為賁(후상지사인위분)、諸也(제야),婦人之拾蠶(부인지습잠),漁者之握鱣(어자지악전),是以效之(시이효지)。 포상이 불충분하고 기만하면 신하는 군주를 위해서 일을 하지 않는다. 상이 충분하고 믿음이 있으면 신하..
내저설_칠술(七術)_ 必罰 2. 七術: 必罰 법의 엄격한 적용을 하면 저절로 다스려진다형벌을 두려워하게 하라군주가 어기면 백성도 어긴다쉬운 일을 시켜 법을 어기지 않게 한다상벌의 권한이 있으면 다스려진다형벌로 형벌을 없앤다목숨은 천하와도 바꾸지 않는다상벌이 있어야 명령이 통한다지나치게 인자하고 다정하면 안 된다지나치게 인자하면 망한다이익과 명예를 위해 행동한다법이 서지 않으면 땅도 소용없다   愛多者則法不立(애다자칙법부립),威寡者則下侵上(위과자칙하침상)。是以刑罰不必則禁令不行(시이형벌부필칙금령부행)。其說在董子之行石邑(기설재동자지행석읍),與子產之教游吉也(여자산지교유길야)。故仲尼說隕霜(고중니설운상),而殷法刑棄灰(이은법형기회);將行去樂池(장행거악지),而公孫鞅重輕罪(이공손앙중경죄)。是以麗水之金不守(시이려수지김부수),而積澤之火不救(이적택지화..
내저설_상_ 칠술_참관 (參觀) 第30篇 《內儲說上》내저설 상하는 한비자의 법(法) 술(術) 세(勢)중 정치술을 논하는 장이다. 이 군주의 정치술은 군주가 신하를 통제하는 대단히 중요한 전략 전술의 내용을 역사적 사례를 들어 설명하는 장이다. 그중 일곱 가지 술법의 활용과 여섯 가지 기미를 잘 살피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칠술 (七術)참관 (參觀): 여러 신하의 말을 참조하고 관찰하라.필벌 (必罰): 죄 있는 자는 반드시 벌하라.상예 (賞譽): 상을 주고 칭찬하라.일청 (一聽): 하나하나 들어라.궤사 (詭使): 계책을 쓰라.협지 (挾智): 모르는 척 물어라.도언 (倒言): 반대되는 말을 하라.    主之所用也七術(주지소용야칠술), 所察也六微(소찰야륙미)。七術(칠술): 一曰衆端參觀(일왈중단참관), 二曰必罰明威(이왈필벌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