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국제 정세는 복잡 다양해지고 있다. 글로벌 원탑, 천조국(일천조원을 국방비로 사용한다 하여 붙여진 별칭) 미국에 대항하는 중국이 등소평의 도광양회를 끝내고 시진핑의 화평굴기(和平崛起)에서 대국굴기(大國崛起)의 기치아래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천조국 미국은 중국을 경제적으로 고립을 시도하였고 더 나아가 외교적 기술적 고립을 시도하고 있다. 그 마지막은 아마도 군사적 고립이 될 것이다.
대륙 별로 보자면 서구 유럽 EU(나토)를 필두로 오세아니아 대륙의 호주, 북미의 캐나다, 아시아의 일본, 한국 베트남, 태국, 필리핀, 대만등을 경제 외교적 동맹으로 하나로 결속시키고 있다. 이에 대항하여 중국은 일대일로를 통해 경제적 공동체를 구성하고 반미 정서가 강한 중동과 아프리카 일부나라와 러시아 그리고 중남미 일부 국가를 꼬드겨 위안화 경제 통화권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무역(경제) 전쟁에서 출발한 미국과 중국의 싸움은 국제 정세에 보다더 복잡한 역학관계를 만들어내고, 열강이나 약소국으로 하여금 G2의 강성함에 줄서기를 강요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는 역사적 흐름에서 보면 문명의 충돌을 넘어 글로벌 패권을 차지하려는 역사의 흐름 속에서 보아야 할 것이다. 중동의 페르시아 제국과 유럽의 로마제국 아시아의 몽골 제국의 영토 확장에서 보여지는 패권국의 침탈과 그것을 참지 못하는 열강들의 제국에 대한 반항이 일어나며 합종연횡의 역사는 시작이 된다.
2500여 년 전 중국의 전국시대에도 지금의 상황과 별반 다르지 않은 역사가 있었다. 그 당시 원탑인 진(秦)나라와 풍부한 물자의 동쪽의 제나라, 비옥하고 광활한 영토를 가진 초나라 그리고 약소국 조 한 위나라의 패권 다툼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세력 싸움이200여 년간 지속된 시대가 바로 전국시대이다.
이때 중국 전국시대 등장한 국가 정책가들이 바로 종횡(縱橫)가 들이다. 그들은 세 치 혀로 전국의 군주들의 마음을 사고 당시 세상을 바꾼 인물들이다. 사기에 가장 먼저 등장하는 종횡가 소진은 연나라를 필두로 하여 조나라 위나라 한나라 초나라 제나라를 각각 설득하며 6국의 연합을 이끌어내니 바로 이것이 합종(合縱)책의 탄생이다. 이에 대항하여 생겨난 전술이 바로 장의의 연횡(連衡)책이다. 최강대국 진(秦)나라가 원교근공의 외교 전략을 기반으로 제나라 초나라, 연나라 조나라와 당시 정세에 맞게 개별적으로 불가침 또는 공동의 적국과 전쟁을 벌이는 것을 말한다.
소진(蘇秦, ? ~ 기원전 317년?)은 동주(東周)의 낙양(洛陽) 사람이다.동쪽의 제나라로 가서 귀곡자(鬼谷子)를 스승으로 모시고 종횡가의 학문을 배웠다. 공부를 마친 소진은 수년간 여러나라를 돌아다니며 유세하였으나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하고 낙향하여 집안사람들에게 구박을 받으며 지내던 차에 태공망이 쓴 음부경(陰符經)을 읽고 연구하여 군주에 유세하는 법을 터득하였다. 소진은 주(周) 나라 현왕을 찾아가 국가 발전 전략을 유세하였으나 아첨하고 질투하는 신하들에게 둘러 쌓인 어리석은 현왕은 받아들이질 않았다. 이에 소진은 낙양을 떠나 서쪽 진나라로 향해갔다.
진나라에 도착한 시점이 진 효공이 막 세상을 떠나고 진 혜왕이 등극하여 유세 객경이던 상앙을 처단한 직후라 변설하는 유세객을 믿지 않고 등용하지 않았다. 소진이 진을 떠나 조나라에 가서 재상 봉양군을 설득하였으나 마찬가지로 통하지 않고 조나라에서도 등용받지 못한다. 역사에 가정은 없지만 만약 상앙이 축출 당해 죽지 아니하고 소진이 진나라의 객경이자 책사로서 임명되어 정사를 펼쳤다면 아마도 중국 전국 통일의 시기는 소진이 유세하여 6국의 상국으로 있던 시기만큼 빨라졌을 것이다. 소진은 그가 6 나라의 상국으로 있던 15년 동안 진나라의 동진정책을 막았다.
3 乃西至秦(내서지진)。秦孝公卒(진효공졸)。說惠王曰(설혜왕왈):「秦四塞之國(진사새지국),被山帶渭(피산대위),東有關河(동유관하),西有漢中(서유한중),南有巴蜀(남유파촉),北有代馬(북유대마),此天府也(차천부야)。以秦士民之眾(이진사민지중),兵法之教(병법지교),可以吞天下(가이탄천하),稱帝而治(칭제이치)。」秦王曰(진왕왈):「毛羽未成(모우미성),不可以高蜚(부가이고비);文理未明(문리미명),不可以并兼(부가이병겸)。」方誅商鞅(방주상앙),疾辯士(질변사),弗用(불용)。
서쪽으로 진나라에 이르렀다. 진나라 효공이 죽었다. 혜왕에게 말하기를, "진나라는 사방이 요새로 둘러싸인 나라로, 산과 위수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동쪽에는 관하가 있고, 서쪽에는 한중이 있으며, 남쪽에는 파촉이 있고, 북쪽에는 대마가 있습니다. 이는 천부(하늘이 내려준 천혜의 창고)입니다. 진나라의 백성과 병법의 가르침으로 천하를 삼키고 황제가 되어 다스릴 수 있습니다." 진왕이 말하기를, "깃털이 아직 자라지 않았으니 높이 날 수 없고, 문리가 아직 분명하지 않으니 병합할 수 없다."라고 하였다. 당시 상앙을 처형하고 변사를 미워하여 쓰지 않았다.
소진은 다시 연나라로 갔다. 그곳에서 1년 여가 지난 시점에 군주 연(燕) 문후에게 자신의 계획을 설명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여기서 소진은 연나라의 지리적 이점과 풍부한 물산등 자신이 분석한 연나라의 강점을 유세하고, 연나라의 지리 정치외교 상황을 역사적 사례를 들며 분석한 자신의 견해를 말하였다. 연나라가 강국 진(秦) 나라의 공격을 당하지 않은 이유가 바로 조나라가 진과 연나라사이에 있기 때문이라 말하며 연과 조는 연합을 주장한다. 연 문후가 그의 유세에 감동하여 소진에게 수레 황금 옷감을 내려 조나라에 사신으로 보내게 되니 이것이 바로 소진의 합종책의 시작이 된다.
당시 종횡가의 유세는 목숨을 내놓으며 군주를 설득하는 기술이다. 내놓은 외교적 술책이 군주의 마음에 들지 않거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면 목숨을 내놓아야 하는 위험한 도박과 같은 것이었다. 세 치 혀로 군주를 설득하고 감동시켜 자신의 책략이 그 국가 정책에 쓰일 수 있게 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렵고도 위험한 일이 된 것이다. 사기에 기록된 종횡가중 소진과 장의가 군주를 설득하는 기술은 자세히 나와 있다.
그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당시 유세하려는 나라의 지정학적 상황에 대한 깊은 지식과 그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책략의 수립, 그리고 그것을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군주에 맞게 설득하는 기술을 포함하는 것이다. 소진이 조나라에 사신으로 갔을 당시 재상 봉양군은 이미 세상을 떠나 조 숙후를 직접 만나 유세를 하였다. 이때 소진은 진나라가 처한 지정학적 상황을 네 가지로 나누어 당당하고 차분하게 유세한다. 그 첫째가 조와 진나라의 연합 불가론을 말한다 진과 조나라가 연합할 경우 한, 위, 초나라가 약해지며 이는 조나라에 실익이 없음을 주장하고 둘째로 조나라가 진의 동진정책에 대비를 주문한다. 진과 국경을 접한 진나라 군대가 황하를 건너면 바로 조나라의 수도 한단이 위험해지는 것을 말하며 진나라와 한 위의 동맹을 사전에 막아야 함을 주장하게 된다. 세번째는 이와 같은 국제 정세 속에서 진나라에 복속하고 땅을 할양을 주장하는 연횡세력의 논리에 놀아나는 것을 경계하라 주문한다. 마지막으로 6개국이 합종하여 진나라의 동진 정책에 맞서 싸워 막아야 함을 유세하고, 동맹을 맺어 어느 한 나라라도 공격을 받으면 나머지 다섯 나라가 연합하여 진을 토벌해야 함을 주장한다. 이에 숙후는 소진에게 수레 백대 황금 이만 냥 백옥 한쌍 비단 천필을 하사하고 제후들과 맹약을 추진하게 했다. 종횡가 소진 유세의 백미라 할 수 있다
조나라에서의 유세
12 「當今之時(당금지시),山東之建國莫彊於趙(산동지건국막강어조)。趙地方二千餘里(조지방이천여리),帶甲數十萬(대갑수십만),車千乘(차천승),騎萬匹(기만필),粟支數年(속지수년)。西有常山(서유상산),南有河漳(남유하장),東有清河(동유청하),北有燕國(북유연국)。燕固弱國(연고약국),不足畏也(부족외야)。秦之所害於天下者莫如趙(진지소해어천하자막여조),然而秦不敢舉兵伐趙者(연이진부감거병벌조자),何也(하야)?畏韓(외한)、魏之議其後也(위지의기후야)。然則韓(연칙한)、魏(위),趙之南蔽也(조지남폐야)。秦之攻韓(진지공한)、魏也(위야),無有名山大川之限(무유명산대천지한),稍蠶食之(초잠식지),傅國都而止(부국도이지)。韓(한)、魏不能支秦(위부능지진),必入臣於秦(필입신어진)。秦無韓(진무한)、魏之規(위지규),則禍必中於趙矣(칙화필중어조의)。此臣之所為君患也(차신지소위군환야)。
"지금의 시기에 산동의 나라들 중 조나라보다 강한 나라는 없습니다. 조나라는 면적이 2천여 리에 달하고, 갑옷을 입은 병사가 수십만 명, 전차 천 대, 기병 만 필, 곡식은 몇 년을 버틸 수 있습니다. 서쪽에는 상산이 있고, 남쪽에는 하수와 장수가 있으며, 동쪽에는 청하가 있고, 북쪽에는 연나라가 있습니다. 연나라는 본래 약한 나라로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진나라가 천하에 해를 끼치는 것 중 조나라만큼 큰 것은 없습니다. 그러나 진나라가 감히 군사를 일으켜 조나라를 공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그것은 한나라와 위나라가 그 뒤를 논의할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한나라와 위나라는 조나라의 남쪽 방패입니다. 진나라가 한나라와 위나라를 공격할 때, 명산대천의 경계가 없으므로 조금씩 잠식하여 수도에 이르러 멈춥니다. 한나라와 위나라는 진나라를 막을 수 없으므로 반드시 진나라에 복종하게 될 것입니다. 진나라가 한나라와 위나라를 차지하지 않으면, 재앙은 반드시 조나라에 미칠 것입니다. 이것이 제가 군주께 걱정하는 바입니다."
13 「臣聞堯無三夫之分(신문요무삼부지분),舜無咫尺之地(순무지척지지),以有天下(이유천하);禹無百人之聚(우무백인지취),以王諸侯(이왕제후);湯武之士不過三千(탕무지사부과삼천),車不過三百乘(차부과삼백승),卒不過三萬(졸부과삼만),立為天子(립위천자):誠得其道也(성득기도야)。是故明主外料其敵之彊弱(시고명주외료기적지강약),內度其士卒賢不肖(내도기사졸현부초),不待兩軍相當而勝敗存亡之機固已形於胸中矣(부대량군상당이승패존망지기고이형어흉중의),豈揜於眾人之言而以冥冥決事哉(기엄어중인지언이이명명결사재)!
"신이 듣건대, 요임금은 세 명의 부하도 없었고, 순임금은 손바닥만 한 땅도 없었으나 천하를 소유하였고, 우임금은 백 명이 모인 마을도 없었으나 제후들의 왕이 되었으며, 탕왕과 무왕의 병사는 3천 명을 넘지 않았고, 전차는 300대, 병사는 3만 명을 넘지 않았으나 천자가 되었습니다. 이는 진정으로 도를 얻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현명한 군주는 외적으로 적의 강약을 헤아리고, 내적으로 병사의 현명함과 어리석음을 평가하여, 두 군대가 맞서기 전에 이미 승패와 생사의 기회가 가슴속에 형성됩니다. 어찌 많은 사람의 말에 가려져 어둠 속에서 일을 결정하겠습니까! "
14 「臣竊以天下之地圖案之(신절이천하지지도안지),諸侯之地五倍於秦(제후지지오배어진),料度諸侯之卒十倍於秦(료도제후지졸십배어진),六國為一(륙국위일),并力西鄉而攻秦(병력서향이공진),秦必破矣(진필파의)。今西面而事之(금서면이사지),見臣於秦(견신어진)。夫破人之與破於人也(부파인지여파어인야),臣人之與臣於人也(신인지여신어인야),豈可同日而論哉(기가동일이론재)!
"신이 천하의 지도를 살펴보니, 제후들의 땅이 진나라의 다섯 배에 달하고, 제후들의 병력이 진나라의 열 배에 달합니다. 여섯 나라가 하나가 되어 힘을 합쳐 서쪽으로 진나라를 공격하면, 진나라는 반드시 패할 것입니다. 지금 서쪽을 향해 진나라를 섬기고, 진나라의 신하가 되는 것은, 남을 패배시키는 것과 자신이 패배하는 것, 남을 신하로 삼는 것과 자신이 신하가 되는 것을 어찌 같은 날에 논할 수 있겠습니까!"
15 「夫衡人者(부형인자),皆欲割諸侯之地以予秦(개욕할제후지지이여진)。秦成(진성),則高臺榭(칙고대사),美宮室(미궁실),聽竽瑟之音(청우슬지음),前有樓闕軒轅(전유루궐헌원),後有長姣美人(후유장교미인),國被秦患而不與其憂(국피진환이부여기우)。是故夫衡人日夜務以秦權恐愒諸侯以求割地(시고부형인일야무이진권공게제후이구할지),故願大王孰計之也(고원대왕숙계지야)。
"무릇 연횡론자들은 모두 제후들의 땅을 떼어 진나라에 바치고자 합니다. 진나라가 성공하면, 높은 누대와 아름다운 궁실을 짓고, 피리와 비파 소리를 들으며, 앞에는 누각과 현원이 있고, 뒤에는 아름다운 여인이 있을 것입니다. 나라는 진나라의 재난을 입으면서도 그 걱정을 함께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연횡론자들은 밤낮으로 진나라의 권세를 이용해 제후들을 위협하여 땅을 떼어주기를 구합니다. 그러니 대왕께서 신중히 고려하시기를 바랍니다."
16 「臣聞明主絕疑去讒(신문명주절의거참),屏流言之跡(병류언지적),塞朋黨之門(새붕당지문),故尊主廣地彊兵之計臣得陳忠於前矣(고존주광지강병지계신득진충어전의)。故竊為大王計(고절위대왕계),莫如一韓(막여일한)、魏(위)、齊(제)、楚(초)、燕(연)、趙以從親(조이종친),以畔秦(이반진)。令天下之將相會於洹水之上(령천하지장상회어원수지상),通質(통질),刳白馬而盟(고백마이맹)。要約曰(요약왈):『秦攻楚(진공초),齊(제)、魏各出銳師以佐之(위각출예사이좌지),韓絕其糧道(한절기량도),趙涉河漳(조섭하장),燕守常山之北(연수상산지북)。秦攻韓魏(진공한위),則楚絕其後(칙초절기후),齊出銳師而佐之(제출예사이좌지),趙涉河漳(조섭하장),燕守雲中(연수운중)。秦攻齊(진공제),則楚絕其後(칙초절기후),韓守城皋(한수성고),魏塞其道(위새기도),趙涉河漳(조섭하장)、博關(박관),燕出銳師以佐之(연출예사이좌지)。秦攻燕(진공연),則趙守常山(칙조수상산),楚軍武關(초군무관),齊涉勃海(제섭발해),韓(한)、魏皆出銳師以佐之(위개출예사이좌지)。秦攻趙(진공조),則韓軍宜陽(칙한군의양),楚軍武關(초군무관),魏軍河外(위군하외),齊涉清河(제섭청하),燕出銳師以佐之(연출예사이좌지)。諸侯有不如約者(제후유부여약자),以五國之兵共伐之(이오국지병공벌지)。』六國從親以賓秦(륙국종친이빈진),則秦甲必不敢出於函谷以害山東矣(칙진갑필부감출어함곡이해산동의)。如此(여차),則霸王之業成矣(칙패왕지업성의)。」
"신이 듣건대, 현명한 군주는 의심을 끊고 참소를 제거하며, 유언비어의 흔적을 없애고, 파벌의 문을 막습니다. 그러므로 군주를 높이고 땅을 넓히며 병력을 강하게 하는 계책을 신이 충성스럽게 아룁니다. 그러므로 대왕께 계책을 올리건대, 한나라, 위나라, 제나라, 초나라, 연나라, 조나라가 하나가 되어 친하게 지내고 진나라를 배반하는 것만 못합니다. 천하의 장수와 재상들이 환수 위에 모여 인질을 교환하고, 흰 말을 잡아 맹세를 맺습니다. 약속하기를, '진나라가 초나라를 공격하면 제나라와 위나라는 날카로운 군대를 보내 도와주고, 한나라는 그들의 식량 로를 끊고, 조나라는 하수와 장수를 건너고, 연나라는 상산 북쪽을 지킨다. 진나라가 한나라와 위나라를 공격하면 초나라는 그들의 후방을 끊고, 제나라는 날카로운 군대를 보내 도와주고, 조나라는 하수와 장수를 건너고, 연나라는 운중을 지킨다. 진나라가 제나라를 공격하면 초나라는 그들의 후방을 끊고, 한나라는 성고를 지키고, 위나라는 그들의 길을 막고, 조나라는 하수와 박관을 건너고, 연나라는 날카로운 군대를 보내 도와준다. 진나라가 연나라를 공격하면 조나라는 상산을 지키고, 초나라는 무관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제나라는 발해를 건너고, 한나라와 위나라는 모두 날카로운 군대를 보내 도와준다. 진나라가 조나라를 공격하면 한나라는 의양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초나라는 무관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위나라는 하수 밖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제나라는 청하를 건너고, 연나라는 날카로운 군대를 보내 도와준다. 제후 중 약속을 지키지 않는 자가 있으면 다섯 나라의 군대로 함께 공격한다.' 여섯 나라가 친하게 지내고 진나라를 손님으로 대하면, 진나라의 갑옷은 감히 함곡관을 나와 산동을 해치지 못할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패왕의 업적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그 뒤로 진나라의 핍박을 받던 한 선왕을 속담의 예를 들며 소꼬리보다 닭의 부리가 될 것을 종용하고 자극하여 합종에 참여하게 만들었다. 진나라에 직접적인 피해를 입던 위 양왕을 또한 설득하여 합종에 찹여하게 하였다.
이후 소진은 제나라로 가서 제선왕을 설득하였다. 제나라의 국가 경쟁력의 강점이 서쪽의 강대한 진나라와 나란히 할 수 있음을 설파하며, 일부 제나라 신하들이 진나라와 연횡을 주장하는 것에 대한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며 유세한다. 소진의 말에 제 선왕도 합종에 동의하게 된다.
소진이 마지막으로 간 나라가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 초나라였다. 강대한 초나라와 강력한 진나라의 양립이 불가함을 말하며 6국이 연합하여 진나라를 고립시킬 정책을 말한다. 동진하는 진나라의 다음 표적이 될 수 있는 검중(黔中)땅과 무관(武關), 그 다음은 초나라 수도 언(鄢), 영(郢)이 위험해질 수 있다는 것을 분석해 주장한다. 합종의 성공은 초나라가 천하의 제왕이 될 수 있고 연횡이 성공하면 진나라가 천하의 제왕이 될 수 있다고 유세를 한다. 초왕이 이를 수락하며 합종은 완성이 된다.
소진은 조·한·위·제·초를 돌며 각국의 군주들에게 함께 뭉쳐서 강대한 진나라와 맞서도록 설득하였다. 결국 소진은 기원전 333년, 연나라에서 초나라에 이르는 거대한 동맹을 만들어 내는 데 성공하였다. 합종 동맹이 만들어진 후 조 숙후는 그를 무안군에 봉했다. 소진은 6 나라의 맹약서를 진나라로 보내니 진나라는 감히 함곡관 밖으로 군대를 보내지 못했으며 그런 상태는 15년 동안 지속되었다.
이들6개 나라의 합종은 진나라의 반간계를 쓰는 연횡책에 의해 서서히 무너져 간다. 진나라는 서수를 제나라와 위나라로 보내 두나라를 속여 조나라를 치게 하였다. 제와 위가 공격해오자 조왕은 소진을 질책하자 소진이 연나라에 사신으로 가길 청했다. 연왕을 설득하여 제나라를 공격하게하니 이때부터 합종의 맹약은 금이가고 서서히 무너졌다.
'사마천 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기열전_전국시대 4대 명장 (3) | 2024.11.10 |
---|---|
장의열전 _천하를 움직인 세치 혀 (2) | 2024.11.07 |
관중_ 인류 역사의 가장 위대한 위정자, 철학자 (7) | 2024.10.03 |
2 이사(李斯)_ 법치 국가 시스템의 완성자 (14) | 2024.09.13 |
상앙 과 이사_ 법치의 확립과 통일 秦 제국 (2) | 2024.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