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비자/ 三守

삼수(三守:군주가 지켜야 할 세가지 원칙)

군주가 지켜야 할 세가지 원칙

 

 

 

人主有三守。三守完則國安身榮,三守不完則國危身殆。何謂三守?人臣有議當途之失、用事之過、臣之情,人主不心藏而漏之近習能人,使人臣之欲有言者,不敢不下適近習能人之心而乃上以聞人主,然則端言直道之人不得見,而忠直日疏。愛人不獨利也,待譽而後利之;憎人不獨害也,待非而後害之;然則人主無威而重在左右矣。惡自治之勞憚,使群臣輻湊之變,因傳柄移藉,使殺生之機、奪予之要在大臣,如是者侵。此謂三守不完。三守不完則劫殺之徵也。

 

 

인주유삼수 삼수완칙국안신영 삼수부완칙국위신태 하위삼수 인신유의당도지실 용사지과 거신지정 인주부심장이누지근습능인 사인신지욕유언자 부감부하적근습능인지심이내상이문인주 연칙단언직도지인부득견 이충직일소 애인부독리야 대예이후리지 증인 부독해야 대비이후해지 연칙인주무위이중재좌우의 악자치지노탄 사군신폭주용사 인전병이자 사살생지기 탈여지요재대신 여시자침 차위삼수부완 삼수부완칙겁살지징야

 

 

 

군주는 세가지 지켜야 할 것이 있다. 세가지 지킴이 완전하면 나라가 편안하고 자신이 영화로워진다. 삼수가 불완전하면 나라는 위태로워지고 군주 자신도 위험해진다. 무엇을 일러 삼수라 하는가? 신하가 당도지인(권세가)의 실정을 논의라고 사업의 과오를 인용하고 신하의 실정을 들어 의논하는데 군주가 마음에 담아 두지 않고 그것을 측근의 신하나 능력 있는 사람에게 누설한다면, 그 말하고자 하는 신하로 하여 먼저 측근이나 권신에게 연락한 다음 군주에게 말하게 된다. 그런즉 정직하고 바른 말을 하는 신하는 군주를 볼 기회가 없고 충성스럽고 곧은 선비는 군주와 소원해진다. 아끼는 사람(신하)에게 군주가 혼자서 이익을 주지 못하고 (주변의) 칭찬을 기다린 이후에 이익을 주고 미워하는 사람에게 군주 혼자서 해()을 주지 못하고 비난을 기다린 후에 그를 해한다면 군주는 위엄이 없어지고 권세가 좌우 측근에 있게 된다. 스스로 수고하여 다스림을 싫어하고 신하들로 하여 군주의 정치 권력을 행사하는데 참여하여 그로 인해 권력이나 지위가 군신에게 옮겨져 살생의 기회와 여탈(주고 빼앗음)의 요체가 대신에 있게 된다. 이를 일러 삼수가 불완전하다 이른다. 삼수가 불완전하면 즉 군주가 겁박 당하고 살해되는 징조가 되는 것이다.

 

 

군주를 겁박하는 세가지

 

 

 

凡劫有三:有明劫,有事劫,有刑劫。人臣有大臣之尊,外操國要以資群臣,使外內之事非己不得行。雖有賢良,逆者必有禍,而順者必有福。然則群臣直莫敢忠主憂國以爭社稷之利害。人主雖賢不能獨計,而人臣有不敢忠主,則國亡國矣,此謂國無臣。國無臣者,豈中虛而朝臣少哉?群臣持祿養交,行私道而不效公忠。此謂明劫。寵擅權,矯外以勝內,險言禍福得失之形,以阿主之好惡,人主聽之,卑身輕國以資之,事敗與主分其禍,而功成則臣獨專之。諸用事之人,壹心同辭以語其美,則主言惡者必不信矣。此謂事劫。至於守司囹圄,禁制刑罰,人臣擅之,此謂刑劫。三守不完則三劫者起,三守完則三劫者止,三劫止塞則王矣。

 

 

범겁유삼 유명겁 유사겁 유형겁 인신유대신지존 외조국요이자군신 사외내지사비이부득항 수유현량 역자필유화 이순자필유복 연칙군신직막감충주우국이쟁사직지리해 인주수현부능독계 이인신유부감충주 칙국위망국의 차위국무신 국무신자 개낭중허이조신소재 군신지녹양교 항사도이부효공충 차위명겁 죽총천권 교외이승내 험언화복득실지형 이아주지호악 인주청지 비신경국이자지 사패여주분기화 이공성칙신독전지 제용사지인 일심동사이어기미 칙주언악자필부신의 차위사겁 지어수사령어 금제형벌 인신천지 차위형겁 삼수부완칙삼겁자기 삼수완칙삼겁자지 삼겁지새칙왕의

 

 

 

군주가 겁박 당하는 것이 셋 있다. 명겁과 사겁 형겁이 있다. 신하가 대신의 지위로 존귀해지면 밖으로 국가의 요체를 잡고 군신을 자신의 자산으로 하고 나라 안과 밖의 일들이 자신이 아니면 행하지 않게 한다. 비록 현명하고 좋은 자들이라도 거슬리면 반드시 화가 있게 하고 순종하면 반드시 복이 있게 한다. 그런즉 군신이 직접 군주에 충성하고 나라를 걱정 함으로서 나라의 이해득실을 위해 논쟁하는 자가 감히 없는 것이다. 군주가 비록 현명하나 홀로 국정을 계획할 수 없고 신하는 군주에 충성하지 않은 즉 나라는 망국이 되는 것이고 이를 일러 나라에 신하가 없다라고 하는 것이다. 나라에 신하가 없다는 것이 어찌 낭중(궁전의 회랑)이 비고 아침 조회하는 신하가 적은 것만 이겠는가? 신하가 녹봉만 보존하고 교우만 키우고(힘쓰며) 사적인 이익만 행하고 공적인 충성에 힘쓰지 않는 것이다. 이를 일러 명겁이라 한다.

 

군주의 총애를 팔고 권력을 마음대로 하고 속임수로 외세를 끌어들여 국내를 제압하고, 화복과 득실의 형세를 험하게 이야기하고 군주의 호오(좋아함과 싫어함)으로서 군주에 아부하고 군주가 그것을 들어주면 자신을 낮게 하고 나라를 가벼이 하여 신하에게 조력하고(資之) 사업이 실패하면 그 화를 군주와 더불어 나누고 일이 성공하여 공로는 신하가 홀로 독차지한다. 사업에 임용되는 사람 한마음으로 입을 모아 그들을 찬양하고 즉 그 글이 잘못하였다고 주장을 하여도 반드시 믿지 않는다. 이를 일러 사겁이라 한다. 재판과 감옥 금지제도와 형벌, 신하가 마음대로 처리함을 일러 형겁이라 한다. 세가지를 지킴이 불완전하면 세가지 겁박이 일어나고 세가지가 완비되면 겁박이 그치게 된다. 세가지 겁박이 그치고 막히면 즉 왕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