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비자/和氏

화씨의 옥( 법 )

화씨의 옥( )

 

 

 

 

楚人和氏得玉璞楚山中,奉而獻之厲王,厲王使玉人相之,玉人曰:「石也。」王以和誑,而刖其左足。及厲王薨,武王即位,和又奉其璞而獻之武王,武王使玉人相之,又曰「石也」,王又以和誑,而刖其右足。武王薨,文王即位,和乃抱其璞而哭於楚山之下,三日三夜,泣盡而繼之以血。王聞之,使人問其故,曰:「天下之刖者多矣,子奚哭之悲也?」和曰:「吾非悲刖也,悲夫寶玉而題之以石,貞士而名之以誑,此吾所以悲也。」王乃使玉人理其璞而得寶焉,遂命曰:「和氏之璧。」



초인화씨득옥박초산중 봉이헌지려왕 려왕사옥인상지 옥인왈 석야, 왕이화위 광 이월기좌족 급려왕훙 무왕즉위 화우봉기박이,헌지무왕 무왕사옥인상지 우왈 석야 왕우이화위광 이월기우족 무왕훙 문왕즉위 화내포기박이곡어초 산지하 삼일삼야 읍진,이계지이혈 왕문지 사인문기고 왈 천하지월자다의 자해곡 지비야 화왈 오비비월야 비부보옥이제지이석, 정사이명지이광차오소이비야 내 사옥 인리기박이,득보언 수명왈 화씨지벽

 

 

초나라 사람 화씨가 산에서 옥돌을 얻었다. 받들어 려왕에게 바치니 려왕이 옥의 장인으로 하여 그것을 감정하게 하였는데 옥 장인 이르길 [ 돌입니다 ] 왕은 화씨가 속인 것으로 여겨 왼발을 잘라버렸다. 려왕이 죽자 무왕이 즉위하여 화씨는 다시 그 옥을 받들어 무왕에게 바치었는데 무왕이 옥 장인을 시켜 감정하게 하니 또 이르길 [돌입니다] 하였다. 왕이 다시 화씨가 자신을 속인다 여겨 그의 오른발을 자르는 월형을 내렸다 무왕이 죽고 문왕이 즉위하여 화씨가 그 옥을 끌어안고 초산아래서 곡을 하니 삼일 밤낮 동안 울음을 다하니 피눈물이 나왔다. 왕이 그것을 듣고 사인으로 하여 그 연유를 물으니 말하길 [천하에 월형 받은 이가 많은데 그대는 어찌 그리 슬피 우는 것이오?] 화씨말하길 [ 내가 월형 받음이 슬픈 것이 아니라 보옥을 일러 돌이라고 평을 하고 정직한 선비를 속임수 쓰는 이로 죄명을 씌우니 이것이 내가 슬퍼하는 바입니다.] 왕이 이내 옥 장인으로 하여 그 옥돌을 다듬게 하니 보옥이 되었다. 드디어 명하여 이르길 [화씨의 옥]이라 하였다.

 

 

 

夫珠玉人主之所急也,和雖獻璞而未美,未主之害也,然猶兩足斬而寶乃論,論寶若此其難也。今人主之於法術也,未必和璧之急也,而禁群臣士民之私邪;然則有道者之不也,特帝王之璞未獻耳。主用術則大臣不得擅斷,近習不敢賣重;官行法則浮萌趨於耕農,而游士危於戰陳。則法術者乃群臣士民之所禍也。人主非能倍大臣之議,越民萌之誹,獨周乎道言也。則法術之士雖至死亡,道必不論矣。

 

 

부주옥인주지소급야 화수헌박이미미 미위왕지해야 연유량족참이보내논 논보야차기난야,금인주지어법술야 미필화벽지급야 이금 군신사민지사사 연칙유도자지부륙야 특제왕지박미헌이 주용술칙대신부득천단 근습부감매중 관항법칙부맹추어경농 이유사위어전진 칙법술자내군신사민지소화야 인주비능배대신지의 월민맹지비 독주호도언야 칙법술지사수지사망 도필부논의

 

 

 

무릇 옥은 군주가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다. 화씨가 비록 옥을 바친 것이 아름답지 않았으나 군주에게 해가 되는 것도 아니었다. 그러나 오히려 두 발이 잘려지고 보옥으로 이내 논의 되었다(판정). 보옥으로 판정되기란 이처럼 어려운 것이다. 지금 군주가 나라를 다스리는 법술을 화씨지벽을 얻는 것만큼 힘써 구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법술은 신하와 백성들의 사악한 행위를 금하는 것이다; 그런즉 도(법술을 익힌)가 있는 자가 죽임을 당하지 않았다면 이는 아직 제왕의 보옥(법술)이 바쳐지지 않았을 따름이다. 군주가 법술을 사용하면 대신이 국정을 함부로 농단할 수 없고 측근 신하가 감히 세도()를 부리지 못한다. 관리가 법을 수행하면 유랑하던 백성들도 농사를 지으러 가고 유사(유협: 떠도는 협객)들도 전쟁터로 나아가 위험을 무릅쓴다. 즉 법술이란 이내 신하와 백성의 화근이 되는 것이다. 군주가 대신의 의견을 내치고 백성의 비판을 넘어서서 홀로 도언(법술의 말)에 맞출 수 없는 것이다. 즉 법술지사가 비록 죽는다 하여도 도(법술)은 반드시 평가 받지 못할 것이다.

 

 

 

봉건 세습의 문제를 제기하다

 

 

 

昔者吳起楚悼王以楚國之俗曰:「大臣太重,封君太眾,若此則上偪主而下虐民,此貧國弱兵之道也。不如使封君之子孫三世而收爵祿,滅百吏之祿秩,損不急之枝官,以奉選練之士。」悼王行之期年而薨矣,吳起枝解於楚。商君秦孝公以連什伍,設告坐之過,燔詩書而明法令,塞私門之請而遂公家之勞,禁游宦之民而顯耕戰之士。孝公行之,主以尊安,國以富,八年而薨,商君車裂於秦。楚不用吳起而削亂,秦行商君法而富,二子之言也已當矣,然而枝解吳起而車裂商君者何也?大臣苦法而細民惡治也。當今之世,大臣貪重,細民安亂,甚於秦、楚之俗,而人主無悼王、孝公之聽,則法術之士,安能蒙二子之危也而明己之法術哉!此世所以亂無霸王也。

 

 

석자오기교초도왕이초국지욕왈 신태중 봉군태중 야차칙상핍주이하학민 차빈국약병지도야 부여사봉군지자손삼세이수작녹 절멸백리지녹질 손부급지지관 이봉선련지사 도왕항지기년이훙의 오기지해어초 상군교진효공이련십오 설고좌지과 번시서이명법령 새사문지청이수공가지노 금유환지민이현경전지사 효공항지 주이존안 국이부강 팔년이훙 상군거렬어진 초부용오기이삭난 진항상군법이부강 이자지언야이당의 연이지해오기이거렬상군자하야 대신고법이세민악치야 당금지세 대신탐중 세민안난 심어진 초지속 이인주무도왕 효공지청 칙법술지사 안능몽이자지위야이명기지법술재 차세소이난무패왕야



 

옛날 오기가 초 도왕에게 초나라의 풍속에 대해 말하며 이르길 [대신이 권세가 커지고() 봉토를 받는 제후()이 많아지면 이와 같은 즉 위로는 군주를 핍박하고 아래로 백성을 학대한다. 이는 나라를 가난하게 만들고 군사력을 약하게 하는 길이다. 봉토를 받는 제후의 자손이 3대가 넘으면 그 작록을 거두어들이고 백관의 봉록을 깎고, 급하지 않는 관직의 가지를 덜어내고(없애고), 노련한 선비를 등용함만 못합니다.] 도왕이 그것을 행한 지 일년이지나 서거하니 오기는 초나라에서 그 사지가 잘려나간 형을 받았다. 상앙(상군) 10호를 묶고 5대열 연좌제를 실행하고, 시서를 불태우며 법령을 명확히 하고, 사사로운 가문의 청을 막고, 공가(국가)의 부역을 따르게 하고, 관직을 쫓는 백성을 떠돌지 못하게 하고, 경전지사(평상시는 농사 위기시는 전사)를 드러냄을(표창) 말하였다. 효공이 그 책략을 행하자 군주는 존엄하고 평안해지며 국가는 부강해지고 팔년이 지나서 서거하니 상앙은 진나라에서 거열형에 처해졌다. 초나라가 오기의 책략을 쓰지 않아 나라가 깎이는 난이 일어나고, 진이 상앙의 변법을 행하며 부강해지니 이 두 사람의 말은 합당한 것이다. 그러나 오기는 사지가 잘리고 상앙은 거열형을 당한 이유가 무엇인가? 대신이 법을 괴로워하고 소인배 같은 백성이 다스려짐을 싫어하는 것이다. 대신이 권세가 무거워짐을 탐하고, 세민(약은 백성)이 난을 편안하게 여기는 것은 진나라 초나라의 풍속보다 심하며 초도왕과 진 효공같은 군주가 없는 즉 법술지사가 어찌 두 사람의 위험을 무릅쓰고 자신이 법술로서 밝힐 수 있겠습니까? 이것은 세상이 어지러운 까닭이고 패왕이 없는 것입니다.

 

 

 

**.오기와 상앙의 마지막은 그리 좋지 못하였다 그러나 진효공 같은 군주가 있어 그 법술지사의(상앙) 책략을 듣고 시행하여 진시황이 전국통일을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 것이다. 오기는 봉건제후의 백성의 수탈과 그로 인해 커지는 권력을 효과적으로 견제하는 방법이 봉록은 3대를 넘어서면 회수를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대신의 봉록도 깎고 필요 없는 관리를 줄임으로써 국가 운영의 비용을 줄여 나간 것이다. 이로서 부가 제후에게 편중되는 현상을 막은 것이며 이 회수된 봉토는 능력 있는 관리 (법술지사)에 맡기어 지역을 운영을 해 나가는 것이다. 여기서 얻어진 세금으로 강력한 군의 운영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지금 한국의 부의 편중의 병패가 권력의 사고 팔 수 있는 지경에 이르렀고 상인 즉 기업가들은 그 부를 이용하여 더욱 부자가 되려고 권력을 사서 자기들에게 유리한 정책을 입안하도록 하고 있다. 삼성물산과 제일 모직의 합병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치권력을 이용 국민의 연금으로 운영되는 기금을 손해를 보는데도 불구하고 합병의 찬성표를 던지게 만들었고, 관치 주도의 금융이 일반기업을 병들게 하는 것도 대우 조선을 통해 보았다. 이것을 밝혀진 것일 뿐이고 밝혀지지 않은 것은 또 얼마나 될는지 아무도 모른다. 최ㅇㅇ과 부산의 ㅇ 시티사태 등에서 불거져 나올 비리를 지켜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부의 편중 그 부를 통해 정치권력의 사고 심지어 그것을 사유화로 이어져서 나타나는 문제라 여겨진다. 이 자본 권력의 효과적인 제어 장치가 필요한 것인데 상앙과 오기는 그 당시 효과적인 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하였던 것이다. 개개의 기업이 정당한 활동을 하여 얻어지는 이익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도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다. 한비자는 오기와 상앙의 예를 들어 봉건 세습으로 인한 부의 편중과 백성의 학대의 문제점을 말하였다. 지금의 대한민국에서 대통령을 넘어서려는 권력이 어떠한 것이 있는지는 ‘권력은 시장으로 넘어갔다’ 라는 노무현 대통령의 독백에서 엿볼 수 있다. 누군가 상앙과 오기가 되어 혁명적인 개혁을 통해 잘못된 자본과 정치권력을 바로잡아 주길 바랄 뿐이다. (2016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