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비자/二柄

군주의 두가지 무기 상과 벌

二 柄

 

「韓非子二 柄」的圖片搜尋結果



범의 발톱과 어금니를 개에게 준다면...

明主之所導制其臣者二柄而已矣二柄者德也何謂刑德殺戮之謂刑慶賞之謂德人臣者畏誅罰而利慶賞故人主自用其刑德則群臣畏其威而歸其利矣

명주지소도제기신자 이병이이의. 이병자 형,덕야. 하위형덕?왈 살육지위 형 경상지위덕. 위인신자외주벌이리경상 고인주자용기리덕 즉군신외기위이귀기리의.

 

현명한 군주가 신하를 이끌어 제어하는 방법은 두 자루가 있을 뿐이다. 이 두자루는 형벌과 은덕이다. 무엇을 형벌과 은덕이라 하는가? 죽이는 것을 일러 형벌이라 하고 상을 주는 것을 일러 은덕이라 한다. 남의 신하가 되어 벌주는 것을 두려워하고 상 줌을 이롭게 여기고 그러므로 군주는 그 자신이 형벌과 은덕을 사용한즉 신하들은 권위를 두려워하고 그 이로움으로 돌아간다.  

 

故世之姦臣則不然所惡則能得之其主而罪之所愛則能得之其主而賞之今人主非使賞罰之威利出於己也聽其臣而行其賞罰則一國之人皆畏其臣而易其君歸其臣而去其君矣此人主失刑德之患也

고세지간신즉불연 소오즉능득지기주이죄지 소애즉능득지기주이상지. 금인주비사 상벌지위리출어기야 청기신이행기상벌 즉일국지인개외 기신이이기군 귀기신이 거기군의 차인주실형덕지환야.

 

세속의 간사한 신하는 즉 그러지 아니하여 미워하는 자에게 능히 그 주군을 얻어(권위) 죄를 짓게 하고 친하는 자는 즉 그 주군의(권위를) 얻어 상을 준다. 지금 인주는 상과 벌을 주는 권세와 이로움이 자신에서 나오지 않고 신하의 (의견을) 듣고 그 상과 벌을 시행한 즉 한 나라의 사람들은 모두 신하를 두려워 하고 군주 쉽게 여길 것이고 백성은 군주에게 떠나 신하에게로 갈 것이며 이는 군주가 형벌과 은덕을 잃어버리는 재앙인 것이다. 


夫虎之所以能服狗者爪牙也使虎釋其爪牙而使狗用之則虎反服於狗矣人主者以刑德制臣者也今君人者釋其刑德而使臣用之則君反制於臣矣故田常上請爵祿而行之群臣下大斗斛而施於百姓此簡公失德而田常用之也故簡公見

부호지소이능복구자 조과야 사호석기조과이사구용지 즉호반복어구의. 인주자 이형덕제신자야 금군인자 석기형덕이사신용지 즉군반제어신의. 고전상상청작록이행지군신 하대두곡이시어백성 차간공실덕이전상용야 고간공견시.

 

대저 범이 능히 개를 복종케 하는 바는 발톱과 어금니가 있는 까닭이다. 범의 이 어금니와 발톱을 풀어 개에게 사용하게 하면 범은 도리어 개에게 복종할 것이다. 사람의 주군인자 형과덕으로 신하를 제어하고 지금 타인의 군주인자 그 형과덕을 풀며 신하로 하여금 사용하게 하면 군주는 도리어 신하의 제어를 당한다. 그러므로 전상은 위(군주)에 작록(작위,봉록)을 청하여 신하들에게 행사하고 아래로 백성에게 많이 곡식을 베풀어, 이는 간공이 그 은덕을 잃고 전상이 사용한 것이다. 그러므로 간공이 시해 당함을 보았다.

子罕謂宋君曰:「夫慶賞賜予者民之所喜也君自行之殺戮刑罰者民之所惡也臣請當之。」於是宋君失刑而子罕用之故宋君見劫田常徒用德而簡公子罕徒用刑而宋君劫

자한위송군왈 :[부경상사여자 민지소희야 군자행지; 살륙형벌자 민지소오야 신청당지] 어시송군실형이자한용지 고송군견섭. 전상도용덕이간공시 자한 도용형이송군겁.

 

자한이 일러 송군에 말하길:[ 대저 경축하고 상을 주는 일은 백성이 좋아하는 일이니 군주가 직접 행하시고; 죽이고 벌주는 일은 백성이 싫어하는 바이니 신이 담당하길 청합니다.] 이와 같이하여 송 군주는 그 형벌을 잃고 자한이 사용한 고로 송군이 위협 당하는 것을 보았다. 전상 무리는 은덕을 사용하고 간공을 시해 하였고 자한 무리는 그 형벌을 사용하여 송군을 겁박하였다.

故今世人臣者兼刑德而用之則是世主之危甚於簡公宋君也故劫殺擁蔽之主非失刑德而使臣用之而不危亡者則未嘗有也

고금세위인신자겸형덕이용지 즉시세주지위심어간공 송군야. 고겁살옹폐지주 비실형덕이사신용지이불위망자 즉미상유야.

 

그러므로 지금 세상에 타인의 신하가 되어 형벌과 은덕을 같이 사용한 즉 이 세상의 주군의 위태로움은 간공과 송군보다 심대할 것이다. 그러므로 위협과 죽임을 당하고 (눈이) 가려진 왕들은 형벌과 은덕을 잃고 신하가 사용하게 하여 위태롭고 망하지 않은 자 일찍이 없었다.




상과 벌의 기준

人主將欲禁姦,則審合刑名者,言與事也。人臣者陳而言,君以其言授之事,專以其事責其功。

인주장욕금간즉심합형명자 언여사야. 위인신자진이언 군이기언수지사 전이기 사책기공

 

인주가 장차 간사함을 금하고 형명이 합치되는지 살피는 것은 말과 일이 같이하는 것이다. 신하가 되어 나아가 말을 하고 군주가 그 말로서 일을 주고 일을 오로지하여 그 성과의 책임을 묻는다.

功當其事,事當其言,則賞;功不當其事,事不當其言,則罰。故群臣其言大而功小者則罰,非罰小功也,罰功不當名也。群臣其言小而功大者亦罰,非不說於大功也,以不當名也害甚於有大功,故罰

공당기사 사당기언 즉상; 공부당기사 사부당기기언 즉벌. 고군신기언대이공소자 즉벌 비벌소공야 벌공부당명야. 군신기언소이공대자역벌 비불열어대공야 이위 부당명야해심어유대공 고죄.

 

공이 일에 합당하고 일이 그 말에 합당하면 즉 상을 주고; 공이 그 일에 합당 하지 않고 일이 말에 부당하면 즉 벌을 준다. 그러므로 신하들은 그 말이 크고 공이 작은 즉 벌주고 공이 작다 하여 벌 주는 것이 아니고 공이 그 명 ()에 합당하지 않아서이다. 신하들이 그 말을 작게 하며 그 공이 크면 또한 벌을 주는데 큰 공이 기쁘지 않아서가 아니라 명()의 부당함 그 큰 공에 비해 심히 해가 되는 이유로 벌을 주는 것이다.

 

昔者韓昭侯醉而寢,典冠者見君之寒也,故加衣於君之上,覺寢而說,問左右曰:「誰加衣者?」左右對曰:「典冠。」君因兼罪典衣與典冠。其罪典衣、以失其事也,其罪典冠、以越其職也

석자한소후취이침 전관자견군지한야 고가의어군지상 각침이열 문좌우왈: [ 수가의자? ] 좌우대왈: [전관] 군인겸죄전의여전관. 기죄전의 이위실기사야 기죄전관 이위월기직야.

 

옛적 한 소후가 취하여 잠을 자는데 전관(모자담당)이 왕이 추운 것을 보고 왕에게 옷을 덮어 주었는데 잠에서 깨어 기뻐하며 좌우에 물어 이르길: [누가 옷을 덮어 주었느냐?] 좌우에서 대답하길:[전관입니다] 그러자 왕은 전관과 전의를 더불어 죄를 주었다. 전의의 그 죄는 직무를 잃은 것이고 전관의 죄는 그 직분을 넘어선 것이다.

 

非不惡寒也,以侵官之害甚於寒。故明主之畜臣,臣不得越官而有功,不得陳言而不當。越官則死,不當則罪,守業其官所言者貞也,則群臣不得朋黨相矣。

비불오한야 이위침관지해심어한. 고명주지축신 신부득월관이유공 부득진언이 부당. 월관즉사 부당비죄 수업기관소언자정야 즉군신부득붕당상위의

 

운 것을 싫어하지 않음이 아니라 직분을 어긴 폐해가 추위보다 심하기 때문이다. 고로 현명한 군주의 신하를 기름은 신하는 그 직무를 넘어 공이 세우지 않게 하고 나아가 말하면 합당하지 않음이 없게 한다. 직무를 넘어서면 즉 죽이고 합당하지 않으면 즉 죄를 준다.맡은 직무의 일을 지키고 그 말한 바가 올곧으면 즉 신하들은 붕당(무리 지어) 서로 위하지 못하게 한다.  

 

 

 

군주는 좋고 싫어하는 감정을 내비치지 말라

 



人主有二患:任賢,則臣將乘於賢以劫其君;妄,則事沮不勝。故人主好賢,則群臣飾行以要君欲,則是群臣之情不效;群臣之情不效,則人主無以異其臣矣。

인주유이환: 인현즉신장승어현이겁기군; 망거 즉사저불승. 고인주호현 즉군신식행이요군욕 즉시군신지정불효; 군신지정불효 즉인주무이이기신의.

 

인주는 두 가지 근심이 있다: 어진 자를 임용한 즉 신하는 현명함을 타고(이용해) 그 군주에 위협이된다; 망령되이 들면(기용하면) 즉 일이 막히고 이기지 못한다 그러므로 인주가 현명한자를 좋아하면 즉 신하들은 군주가 바라는 요체를 꾸미고 행한 즉 이는 신하의 실정(마음)이 드러나지 아니하고 인주는 그 신하의 다름이 없는 것이다(분별하지 못함)  

 

故越王好勇,而民多輕死;楚靈王好細腰,而國中多餓人;齊桓公妒而好,故豎刁自宮以治內,桓公好味,易牙蒸其子首而進之;燕子噲好賢,故子之明不受國。

고월왕호용 이민다경사; 초령왈호세요 이국중다아신; 제환공시이호내 고수조자궁이치내 환공호미 역아승기자수이진지; 연자쾌호현 고자지명불수국.

 

그리하여 월왕이 용맹함을 좋아하여 백성이 죽음을 가벼이 하는 자가 많았고 초 영왕은 가는 허리를 좋아하여 나라 내에 굶어 죽는자가 많았다; 제 환공은 질투가 심하고 여색을 좋아하여 수조가 스스로 거세하여 내시가 되었고 환공이 맛난 음식을 좋아하자 역아는 아들의 머리를 쪄서 진상하였다; 연나라 자쾌는 현자를 좋아하여(물려주고자 하였으나) 자지는 나라를 받지 않기를 밝혔다.  

 

故君見惡則群臣匿端,君見好則群臣誣能。人主欲見,則群臣之情態得其資矣。故子之託於賢以奪其君者也,豎刁、易牙因君之欲以侵其君者也,其卒子噲以亂死,桓公蟲流出戶而不葬。

고군현오즉군신닉단 군견호즉군신무능. 인주욕현 즉군신지정태득기자의 고자지틱현어탈기군자야 수조,역아군지욕이침기군자야 기졸자쾌이난사 환공충류출호이불장.

 

고로 군주가 싫은 것을 보면 신하들은 그 실마리를 숨기고 군주가 좋아하는 것을 보면 신하들은 능력을 속인다(능력 있는 척 속인다) 군주가 하고자 하는 바를 드러내면 신하들의 마음은 그것을 바탕으로 형태를 취한다. 그래서 자지는 현자로서 있다가 그 군주의 자리를 빼앗았고 수조, 역아는 군주의 바라는 것으로 의거하여 그 군주를 범하였고 결국 자쾌는 난으로 죽고 환공은 시체에서 벌레가 흘러나오도록 장례를 지내지 못하였다.


 

此其故何也?人君以情借臣之患也。人臣之情非必能愛其君也,重利之故也。今人主不掩其情,不匿其端,而使人臣有緣以侵其主,則群臣子之、田常不難矣。故曰:去好去惡,群臣見素。群臣見素,則大君不蔽矣

차기고하야? 인군이정차신지환야. 인신지정비필능애기군야 위중리지고야. 금인주불기기정 불닉기단 이사인신유록이침기주 즉군신위자지,전상불난의. 고왈:거호거악 군신현소. 군신현소 즉대군불폐의.

 

이는 무엇 때문이냐? 군주의 마음을 산하에게 빌려주어(보여주어) 생긴 근심인 것이다 신하의 마음은 반드시 그 주군을 친애하는 것이 아니고 이로움을 중히 여기기 때문이다. 지금 인주가 그 마음을 버리지 아니하고 그 실마리를 숨기지 아니하면 이는 신하가 녹봉을 가지고 그 주군을 침범하는 것이며 즉 신하들은 자지와 전상이 되는 것이 어렵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르길 좋고 싫어하는 (감정을) 버리면 신하들은 본색을 드러낸다. 즉 큰 군주는 가리어짐이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