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비자/難言

군주에게 말하는 어려움...

 

 

 

 

한비가 말을 어렵게 여기며 크게 걱정하는 이유


 

臣非非難言也所以難言者言順比滑澤洋洋纚纚則見以華而不實敦祗恭厚鯁固則見以掘而不倫신비비난언야소이난언자 : 언순비활택 양양사사연 즉 견이위화이부실. 돈지공후 즉견이이위굴이불륜.

신 한비 말하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말하기가 어려운 까닭이 있습니다. : 말이 거스림이 없고 매끄럽고(유창함) 풍부하며 끊어 지지 않게 이어지면 화려하고 실속이 없다 볼 것입니다(여길 것이다). 도탑고 삼가하고 공순하고 중후하며(너무 정중하고), 강직하고(곧고굳음) 신중하고 완고하면 즉 옹졸하고 인륜에 어긋나게 보일 것이다


 

多言繁稱連類比物則見以虛而無用摠微說約徑省而不飾則見以為劌而不辯激急親近探知人情則見以譖而不讓閎大廣博妙遠不測則見以夸而無用다언번칭 연류비물 즉견이위허이무용. 총미설약 경성이불식 즉견이위극이불변. 격급친근 심지인정 즉 견이위참이불양. 굉대광박 묘원불측 즉견이위 과이무용.


 

말이 많고 자주 인용하고 비슷한 사례를 든다면 즉 공허하고 쓸모 없다 보일 것입니다. 요점만 간추려 요약하고 꾸밈없이 직설적이면 (말로) 상처 입히고(거칠고) 서툴(언변이 부족)게 보일 것입니다. 말을 급격히 가까이 친하게 하여 타인의 마음을 알아내면 즉 헐뜯으며 겸양을 모른다고 보일 것입니다. (그 뜻이) 너무 크고 넓어 미묘하고 멀어 헤아리기 어려우면 즉 과장되어 쓸모 없이 보일 것입니다. 



家計小談以具數言則見以言而近世辭不悖逆則見以貪生而諛上言而遠俗詭躁人間則見以捷敏辯給繁於文采則見以殊釋文學以質信言則見以時稱詩書道法往古則見以此臣非之所以難言而重患也가계소담 이구수언 즉견이위루. 언이근세 사불폐역 즉견이위탐생이유상. 언이원속궤조인간 죽견이위탄. 첩민변급 번어문채 즉견이위사. 수석문학 이질신언 즉견이위비. 시칭시서 도법왕고 즉견이위통. 차신비지소이난언이중환야.


 

작은 일까지 일일이 숫자를 따지듯 말하면 즉 야비하다 볼 것입니다. 말을 함에 세속적이면 말을 (남에게) 거슬리지 않게 말하면 즉 생을 탐하고 위에 아첨한다고 볼 것입니다. 말함에 세속에서 멀고(세속과 동떨어진) 사람들 사이에서(세상에)괴이한 이야기로 떠들면 즉 거짓으로 속인다고 볼 것입니다. 민첩하게 말을 잘하며 그 말에서 자주 문채가 나면 즉 사관이라고 볼 것입니다. 문학적 수식없이 실질 그대로 이야기하면 즉 비천하다 볼 것입니다. 때에 따라 시,서경을 인용하여 말하고 지나간 옛날 법(고대 성왕)을 말한다면
즉 암송만 한다 여길 것이다. 이것은 신 한비가 말을 어렵게 여기며 크게 걱정하는 이유인 것입니다.






 



도리에 맞는 말은 귀에 거슬리고 마음에 반하는 것



 

故度量雖正未必聽也義理雖全未必用也大王若以此不信則小者以為毀訾誹謗大者患禍災害死亡及其身고도량수정미필청야 ; 의리수전 미필용야. 대왕약이비불신, 즉소자이위훼자비방 대자완화재해사망급기신.


그러므로 도량(자와 됫박:길이와 무게를 재는 것)이 비록 바르나 반드시 (군주가) 들어주는 것도 아닙니다 : 의리(옳은 이치)가 비록 완전하더라도 반드시 쓰이는 것은 아닙니다. 대왕께서 만약 이것을 믿지 않으신다면 즉 작게는 (타인을) 비방하고 헐뜯는다 할 것이고, 크게는 근심 재앙과 죽임이 그 자신(말한자)에게 이를 것입니다.

 

故子胥善謀而吳戮之仲尼善說而匡圍之管夷吾實賢而魯囚之故此三大夫豈不賢哉而三君不明也고자서선모이오륙지 중니선설이굉위지 관이오실현이노수지. 고차삼대부개불현? 이삼군불명야.

그러므로 오자서는 꾀를(지락) 잘 내었으나 (오왕 부차) 죽임을  당하였고 중니는 말을 잘 하였지만 굉 땅에서 에워 싸이고(억류당하였고) 관이오(관중)은 실로 현명하였으나 노나라에서  죄인이 되었습니다. 이 세 대부가 어찌 현명하지 못하겠습니까? 이는 세 군주가 현명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입니다.

 

上古有湯至聖也伊尹至智也夫至智說至聖然且七十說而不受身執鼎俎庖宰昵近習親而湯乃僅知其賢而用之故曰以至智說至聖未必至而見受伊尹說湯是也以智說愚必不聽文王說紂是也상고유탕지성야 이윤지지야 ; 대지성설지성 연차칠십설이불수 신집정저위포재 닐근습친 이탕내근지기현이용지. 고왈이지지설지성 미필지이견수 이윤설탕시야 ; 이지지설우필불청 문왕설주시야.

상고시대 탕왕은 지극한 성인이었고 이윤은 크게 지혜로웠습니다; 그리고 또한 수차에 걸쳐 설득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몸소 솥과 도마를 든 요리사가 되어 접근하여 친해지자 탕왕이 겨우 그의 현명함을 알아보고 그를 쓴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르길 지극히 지혜로운 자가 지극한 성인에 설득함은 반드시 곁에 이르어 만나는 것만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이고 이윤이 탕왕을 설득한 것이 이것 입니다 ; 지혜로운자가 어리석은 군주를 설득하는 것은 반드시 듣지 않을 것인 것 문왕이 주를 설득한 것이 이것입니다.

 

故文王說紂而紂囚之翼侯炙鬼侯腊比干剖心梅伯醢夷吾束縛而曹羈奔陳伯里子道乞傅說轉孫子臏於魏吳起收泣於岸門痛西河之卒枝解於楚公叔痤言國器公孫鞅奔秦關龍逢斬萇宏分尹子於棘司馬子期死而浮於江田明辜射宓子賤西門豹不而死人手董安于死而陳於市宰予不免於田常范睢折脅於魏고문왕설주이주인지 익후적 귀후석 비간부심 매백해 이오속박 이조기분진 백리자도걸 부열전륙 손자빈각어위  오기수읍어안문통서하지위진 졸기해어초 공숙좌언국기번어패 공손안분진 관룡봉참 장굉분시 윤자정어극 사마자기사이부어강 전명고사 복자천,서문표불투이사인수 동안우사이진어시 신자불면어전상 저근협어위.


 

그러므로 문왕이 주를 설득(())하자 주가 (문왕을) 옥에 가두었고 익후를 화형하고 귀후를 포를떠서 말리고 비간의 가슴을 가르고 매백은 죽어 소금에 절여지고 관중은 속박(새끼줄에 묶임)당하였고, 조기는 진으로 달아나고 백리해는 길에서 구걸하였고 부열은 몸 팔러 다녔고(전륙) 손자빈은 정강이뼈를 베는 형벌을 당하였고, 오기는 안문에서 눈물을 흘리면서 서하가 진나라 땅이 된 것을 통탄하였고 초나라에서 사지가 잘리어 죽었다. 공숙좌는 (공손앙)을 나라의 기물(신하로 추천)이라 말하였으나 도리어 (사이가) 어그러져서 공손앙이 진으로 달아났고, 관룡봉은 목이 베어지고 장굉은 배를 갈라 창자를 끊는 형벌을 당했고 윤자는 가시덤불에 던져졌고 사마자기는 죽어 강물에 떠올랐으며 전명은 창에 꼬치를 꿰어 죽이는 형벌을 당했고 복자천 서문표는 다투지 않았는데도 다른 이의 손에 죽고 동안우는 죽어 시체가 저자거리에 널리고 재여는 전상과 싸워 죽음을 면치 못하였고 범저는 위에서 늑골이 부러졌습니다.


此十數人者皆世之仁賢忠良有道術之士也不幸而遇悖亂闇惑之主而死然則雖賢聖不能逃死亡避戮辱者何也則愚者難說也故君子難言(不少)且至言忤於耳而倒於心非賢聖莫能聽願大王熟察之也차십수인자 개세지인현충량유도술지사야 불행이우패난안혹지주이사 연즉수현상불능도사망피륙진자하야? 즉우자난설야 고군자불소야 차지언오어이이도어심 비현성막능청 원대왕숙찰지야.


이 십 수명은 모두 세상에서 어질고 현명하고 충성되고 좋은 도술(도덕과 법술)을 지닌 선비들이나 불행하게 어리석고 도리를 모르고 어리석은 군주를 만나서 죽은 것이고, 그러한 즉 비록 현성한 이들이 욕됨을 피하거나 죽음으로부터 도망치지 못하는 것이 무엇 때문이겠습니까?  어리석은 자(군주)에게는 설명하기 어려우므로 군자는 말하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또한 지극한(도리에 맞는) 말은 귀에 거슬리고 마음에 반하는 것입니다. 현명하고 성군이 아니라면 (이런 말을) 능히 들어주지 않습니다. 대왕은 이를 깊이 헤아리시기 바랍니다.